1. 테이블 설정하기 

설정해야할 테이블 종류는 다음과 같다. 총 두가지이다

 

-JPA가 사용될 엔티티 테이블

해당 테이블은 Application에서 서버 실행하면 콘솔창에 출력되는 내용을 복사하면된다

내용이 길어서 다 담지는 못했지만, 'Hibernate:' 옆 부분을 복사하면된다 

복사한 내용은 MySQL workbench로 가서  rds와 연결된 db에붙여넣고 테이블을 생성하면된다. 

-> 이부분을 실행하려면 워크벤치와 rds를 연결해야하는데, 하는 방법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면 된다

https://scshim.tistory.com/218

-스프링 세션이 사용될 테이블 

해당 테이블 정보는 맥북 기준 cmd+shift+o(알파벳)을 누르고 shcema-sql.sql을 검색해서 나오는 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위 테이블과 같은 방법으로 복사해서 mysql에 붙여넣고 테이블을 생성하면된다

 

2. 프로젝트 설정

-build.gradle에 의존성 추가하기 

 

-main/resource 패키지에 application-real.properties 파일 생성 후 내용 추가하기

 

3. EC2 설정

-app 디렉토리에 application-real-db.properties 파일 생성 

이 파일을 생성하는 이유는 RDS도 보안되어야 할 대상이므로 EC2 서버에 직접 설정 파일을 생성해야하기 때문이다

생성 후 내용 추가하기

 

4. deploy.sh 수정 후 실행

 

deploy.sh 마지막 부분을 수정하고

./deploy.sh 명령어로 실행하고 nohup.out 파일을 확인해서 다음이 보이면 성공이다.

 

위 단계까지 마치면 배포가 완료되었다. 

ec2 서버의 도메인을 찾아서 들어가면 내가 배포한 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