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부한 날짜: 2021.12.01
- Multi_threading- Basic
- main에서 일이 끝났어도 sub에서 안끝났으면 sub 계속 진행한다. 자기가 맡은일 끝까지 함
- 스레드 실행순서에 대해서 공부
- 메인영역(logging format 설정/ 함수인자 확인/ 서브 스레드 시작 부분으로 나눌 수 있음)
-스레드 실행 함수
- main 선언 및 logging format 설정
: basicConfig, logging.INFO 개념 정리하기
- 함수인자 확인
-서브 스레드 시작 및 탈출로그 입력
Part 02
- Multithreading - Thread- Daemon, Join
- Daemon Thread(데몬 스레드)
1. 백그라운드 실행
2. 메인스레드 종료시 즉시 종료
3. 주로 백그라운드 무한 대기 이벤트 발생 실행하는 부분 담당 -> JVM(가비지 컬렉션), 자동 저장 기능에서 사용됨
4. 일반 스레드는 작업 종료시까지 실행
-위의 코딩과 비슷하게 구현하지만, 다른 점은 threading.Thread()에 range()와 daemon=True가 추가되고 실행 함수가 약간 달라졌다.
- 스레드 실행 함수(파라미터로 name,d를 받음)
- 메인 영역 - Logging format 설정
-함수 인자 확인: threading.Thread()
-서브 스레드 시작
-DaemonThread 확인->True 출력됨
'Dev Language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_4] #4. Lock & DeadLock, Semaphore & Mutex (2) | 2021.12.02 |
---|---|
[파이썬_4] #3. ThreadPoolExecutor (0) | 2021.12.02 |
[파이썬_4] #1. 프로세스(process) vs 스레드(thread) and GIL(Global Interpreter Lock) (0) | 2021.12.02 |
[파이썬_3] #3. 메타클래스/동적클래스 생성/메타클래스 상속/Descriptor (0) | 2021.11.26 |
[파이썬_3] #2. Decorator/Underscore/Getter&Setter/Overriding/Overloading/Dispatch (0) | 2021.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