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한 날짜: 2021. 10. 20

 

수식트리: 수식을 표현하는 이진트리. 수식이진트리라고도 불림

 

규칙 (하나의 연산자가 두개의 피연산자를 가진다는 가정 하에)

1.  피연산자는 잎 노드이다.

2.연산자는 루트노드 또는 가지노드이다. 

 

수식트리는 가장 아래에 있는 하위수식트리(잎노드)부터 계산 결과를 병합해 올라가는 과정을 반복하여 계산을 수행.

 

-후위 표기식에 기반한 수식 트리 구축 알고리즘 

토큰은 하나씩만 읽어들여서 먼저 연산자인지 숫자인지 확인해야한다. 

 

1. 수식을 뒤에서부터 앞쪽으로 읽어나간다.

2. 수식에서 제일 마지막에 있는 토큰은 루트노드가 된다. 후위 표기식에서 가장 마지막에 있는 토큰은 항상 연산자이다.

(루트노드=연산자)

3. 수식에서 읽어낸 토큰이 연산자인 경우는 가지노드, 이 다음 토큰은 하나씩 왼쪽 자식 노드, 오른쪽 자식노드가 됨.

4. 수식에서 읽어낸 토큰이 숫자이면 잎노드이다. 

 

 

 

오늘 드디어 정보처리기사 3차 시험을 마쳤다. 

내년 6월에 필기 합격이 만료되기도 하고, 이번에 떨어지면 내년 4월을 노려야하는데 그때까지 시간이 너무 오래걸릴 것 같아서 더이상 시간낭비를 하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시험 볼때 틀렸던 부분(로킹 같은거) 공부할 때마다 후회되고, 중간 중간 공부가 너무 하기 싫었고, 슬럼프에도 빠졌지만 지금 이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건 공부밖에 없는 걸 알았기에 계속 공부했다.

내용이 꽤 많아서 개념공부하고, 문제 유형 익히고 여러가지 문제푸느라 시간을 많이 들였다. 

그래도 공부 할 수 있는 건 다 했기에 시험 보러갈 때는 자신감있게 갔던 것 같다. 

 

시험은 처음 훑어봤을 때 프로그래밍 문제가 많았고, 어려워 보여서 쉬워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개념 문제도 영어로 선택하는게 많아서 

'망했다' 생각이 처음에 들긴 했다. 그래도 '시간 많으니까 천천히 풀어보자'라는 생각으로 풀었다.  그렇게 개념을 하나씩 풀어나갔고, 프로그래밍도 풀기 시작했다. 그리고 10시 45분이면 사람들 많이 나갈텐데 그때 흔들리지 말고 앉아서 계속 문제 풀자라고 생각했다.

그렇게 풀었던 문제 또보고 또보고를 반복해서 마지막에 고친 프로그래밍 한 문제 맞히고 11시 30분에 나왔다. 

저번 7월에 시험 보고 나왔을 때는 떨어졌다는 생각에 마음이 안 좋았는데, 이번에는 시험장을 나옴과 동시에 마음히 후련했다. 

그리고 결과도 좋아서 결론적으로 나에게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이제 더이상 공부를 안해도 돼서 좋지만, 마음편히 다른 취준공부에 집중할 수 있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 같아서 이게 제일 좋다. 

 

시험 공부를 하면서 실기 1,2차 때는 정처기를 약간 만만하게 보는게 있었는데 실패를 통해서 세상에 만만한 일 없고, 만만한 시험은 없구나라고 느꼈다. 그리고 동차로 바로 합격했으면 가장 좋았겠지만 몇번의 실패를 통해서 실패했어도 다시 공부하는 법을 배웠기에 이부분이 의미있다고 생각한다. 비전공자로 개발자 준비가 녹록지 않겠지만, 그래도 정처기 공부를 통해서 그 시작을 잘 끊은 것 같다. 앞으로  열심히 공부해야지. 

 

그동안 고생했다!! 애증의 정처기 드디어 빠이~~~

 

 

  • 가채점(78점 예상)

 

 

  • 예상했던 대로 78점으로 합격!! 이제 정처기는 끝(2021.11.26)

'개발 인사이트 >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간의 공부 기록  (0) 2021.10.17
2021 정보처리기사 2차 실기 복기  (0) 2021.09.01

공부기간: 2021.09.06~10.15

총 34일 동안 공부했다.

목표: 

1. 정보처리기사 인강 완강하기

2. 기출풀기

3. 푼 문제 오답

4. 내용복습

5. 데일리 실기 다회독

6. 족보/파이널 모의고사

 

실행: 

1. 9월 26일에 완료 

2. 10월 8일 완료

3,4. 10월 11일 완료

5. 10월 12일 완료

6. 10월 15일 완료(10.12~10.15)

 

 

공부양으로는 인강 1회독, 개념 3회독, 기출 2회독, 데일리 실기 4회독, 약술형 1회독, 파이널 모의고사 35회 풀기 했다. 

개념은 3회독 부터는 중요한 부분 위주(sql,프로그래밍,보안,테스트,uml,sw 기초)로 정리하고 정리본을 봤다 

 

 

공부한 날짜: 2021.09.30

 

-이진트리: 모든 노드가 최대 2개의 자식을 가질 수 있는 트리

예시) 수식이진트리(수식을 트리 형태로 표현하여 계산하게 함), 이진 탐색 트리(아주 빠른 데이터 검색을 가능하게 함)

ㄴ 이진트리의 특징: 노드의 최대차수 2(가능한 값 0,1,2)

ㄴ 이진트리의 종류: 포화이진트리, 완전 이진트리,높이 균형 트리,완전 높이 균형 트리

 

-포화 이진트리: 모든 노드가 자식을 둘씩 가지고 있는 이진트리. 잎 노드들이 모두 같은 깊이에 존재한다는 특징을 가짐

-완전 이진트리: 잎 노드들이 트리의 왼쪽부터 차곡차곡 채워진 것이 특징

-높이 균형 트리: 루트 녿를 기준으로 왼쪽 하위 트리와 오른쪽 하위 트리의 높이가 1이상 차이나지 않는 이진트리

-완전 높이 균형 트리: 루트 노드를 기준으로 왼쪽 하위 트리와 오른쪽 하위트리의 높이가 같은 이진트리

 

-이진트리의 순회 :트리 내의 노드들 사이를 돌아다니는 것을 말함 

순회에는 전위순회,중위순회,후위순회가 있다 

 

1. 전위 순회: 루트 노드부터 잎 노드까지 아래 방향으로 방문하는 순회

(1) 루트 노드부터 시작해서 아래로 내려오면서

(2) 왼쪽 하위 트리를 방문하고 끝나면

(3) 오른쪽 하위트리 방문

 

2.중위 순회: 왼쪽 하위 트리부터 오른쪽 하위 트리 방향으로 방문하는 순회

(1) 왼쪽 하위 트리부터 시작 : 가장 왼쪽의 '잎 노드'부터 시작한다는 말

(2) 루트

(3) 오른쪽 하위 트리 

 

노드-부모노드-형제노드 순서 

중위 순회가 쓰이는 예: 수식트리

 

3.하위 순회:

(1) 왼쪽 하위트리부터 시작

(2) 오른쪽 하위트리

(3) 루트노드 순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