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에 참고한 책: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수정기능을 입력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PostsApiController에 update() 와 findById() 메소드 생성

-update() 메소드

  • Long Type
  • @PutMapping()
  • @PathVariable
  • @RequestBody

- findById() 

  • PostsResponseDto
  • @GetMapping()
  • @PathVariable

 

2. PostsReponseDto 생성( GitHub 위치: /web/dto)

해당 Dto는 Entity의 필드 중 일부만 사용하므로 생성자로 Entity를 받아 필드 값에 넣고 response한다. 

 

 

3. PostsUpdateRequestDto 생성( GitHub 위치: /web/dto)

 

 

4. Posts에 update 생성자 생성

 

5. PostsService에 update(), findById() 메소드 생성 

 

  • update()

 

  • findById()

 

6. PostsApiControllerTest 실행 

 

게시글_저장 test와 다른 점은 세가지가 있어서 짚어보려한다. 

 

첫번째, 수정은 기존에 저장되어있는 정보를 바꾸는 일이므로 처음 정보를 저장하고, 바꿀 정보도 입력해야해서 두개의 객체              를 생성해야한다. 

두번째, requestEntity를 생성해야한다. 

세번째, //when 부분에서 restTemplate.exchange()를 이용하고, HttpMethod.PUT을 파라미터로 넣는다. 

 

 

자세한 코드는 다음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github.com/heyazoo1007/bookproject/blob/master/src/test/java/com/heyazoo1007/book/web/PostsApiControllerTest.java

+ Recent posts